서울의 한 소각장. <br /> <br />쓰레기차가 밤새 거둔 생활 쓰레기를 구덩이에 쏟아 붇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일부 쓰레기는 구덩이로 들어가지 못합니다. <br /> <br />재활용 쓰레기가 뒤섞여있는 탓입니다. <br /> <br />하루 동안 수거된 쓰레기 가운데 일부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비닐 봉투를 열어 보니 폐마스크는 물론이고, 안에 들어가서는 안 될 비닐 포장재와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까지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분리수거가 제대로 되지 않은 이른바 '불법 쓰레기'는 원칙적으로 수거 업체로 돌려보내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[주민 감시원 : 골라내기 힘듭니다. 저희도 차를 다 쏟아내서 확인할 수가 없으니까….] <br /> <br />코로나19로 부쩍 늘어난 일회용품 쓰레기를 분리하지 않은 채 그냥 버리는 경우가 늘면서 생활 쓰레기 매립지는 포화 상태에 가까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[이화균 /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전략관리실장 : (생활 쓰레기가) 작년보다 약간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. 코로나로 인해서 배달 음식 등을 가정에서 많이 시켜 먹기 때문에 그런 영향으로….] <br /> <br />정부가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펼친 정책도 코로나19 여파에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올해 1월부터 수도권 각 지자체에 '반입 총량제'를 도입해 2018년보다 생활 쓰레기를 10% 줄이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해진 양을 넘기면 벌금을 물리고 매립지 반입도 제한하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지난 7월 말 기준 중간 점검 결과, 배출량을 어긴 곳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에서는 강남구를 포함해 지자체 4곳이, 인천과 경기에선 각각 3곳이 이미 올해 한도를 넘은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까지 수도권 전체 생활 쓰레기는 모두 48만 톤, 이미 목표치의 80% 가까이 찼습니다. <br /> <br />[환경부 관계자 : 8월 말 기준으로 다시 한 번 분석해 보니까 (올해 말까지) 40곳이 초과할 것으로…. 설정한 총량이 있는데, 그거를 넘어서 들어올 것으로 예상한다는 거죠.] <br /> <br />매립지를 관리하는 인천시는 총량을 지키지 않은 지자체의 쓰레기는 반입을 막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와 같은 쓰레기 배출이 이어진다면 더는 처분할 땅이 없는 '수도권 쓰레기 대란'이 일어날 위기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홍민기 <br />촬영기자 : 윤성수·김광현 <br />영상편집 : 온승원 <br />그래픽 : 우희석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91114345794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